※ 온라인가설플러스에 관련 문의사항이나 요청사항을 남겨주시길 바립니다. 확인 후 빠른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문의선택
고객사(상호)
회사전화
- -
신청자(이름)
황준영
직위
이메일
sdjsadsd@naver.com
휴대전화
- -
제목
인스타 팔로워 ‘금관 선물’ 받은 트럼프에 미국 토크쇼 풍자 잇따라···“조종하기 참 쉬워”
내용
인스타 팔로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신라 천마총 금관’ 모형을 선물로 받은 것을 두고 미국에서 심야 토크쇼를 중심으로 풍자와 비판이 잇따랐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케이블채널 코미디센트럴 토크쇼 ‘더 데일리 쇼’ 진행자 데시 리딕은 금관 선물을 겨냥해 “트럼프를 위한 ‘예스 킹스’ 집회”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인 국정운영을 둘러싸고 미국 내에서 벌어진 이른바 ‘노 킹스’(No kings·왕은 없다) 시위 명칭을 비틀어 비판한 것이다. 그는 방송에서 “우리는 지금 대통령이 ‘왕 놀이’에 빠지지 않게 하느라 애쓰고 있는데, 당신들은 ‘이 멋진 왕관 좀 써 보세요’라고 했다”며 “그냥 보통 나라들처럼 돈다발이나 건네라”고 했다.
우익 청년 활동가 고 찰리 커크 관련 발언으로 자리를 잃을 뻔했던 ABC 방송의 ‘지미 키멀 라이브’ 진행자 지미 키멀은 “(한국 정부는) 수백만 명이 ‘노 킹스’ 시위를 하는 걸 보고 (왕관 선물을) 생각해 낸 게 아닐까”라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아시아 순방 기간 모든 국가가 트럼프에게 극진한 대접을 한 것을 꼬집어 “그가 얼마나 조종하기 쉬운 사람인지 정말 부끄럽다”며 “어쩌면 한국에 남아서 왕이 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농담했다.
CBS 방송의 ‘레이트 쇼’ 진행자 스티븐 콜버트는 “그들(한국)은 트럼프에게 지금 유일하게 없는 것, 커다란 금관을 줬다”며 “문자 그대로 그(트럼프 대통령)를 버거킹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햄버거를 먹은 트럼프 대통령을 미국 내 트럼프 반대 시위에서 사용된 구호 ‘버거킹 말고는 왕은 없다’에 빗대 조롱한 것이다.
인터넷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관을 쓰고 황홀경에 빠진 듯한 모습 등을 연출한 풍자 ‘밈’도 인기를 끌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관 모형 선물을 받고 “아주 특별하다”, “특별히 잘 챙겨라. 내 박물관 맨 앞줄에 소장하도록 하라” 등 흡족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NBC 방송 ‘레이트 나잇 위드 세스 마이어스’의 진행자 세스 마이어스는 “카메라가 없어지자마자 트럼프가 ‘그거 써도 되냐’고 물어봤다더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1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부 간 총 7건의 양해각서(MOU)와 계약이 체결됐다.
한국과 중국은 이날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MOU 6건과 계약서 1건의 교환식을 진행했다.
보이스피싱·온라인 사기 범죄 대응 공조 MOU를 비롯해 실버경제 분야 협력, 서비스 무역 교류 협력 강화 등의 MOU가 양국 장관급 사이에서 교환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중국의 해관총서는 ‘한국산 감 생과실의 중국 수출 식물 검역 요건 MOU’를 체결했다.
한·중 정부는 이밖에 혁신 창업 파트너십 프로그램 공동추진 MOU, 2026~2030 경제협력 공동계획 MOU도 체결하고 교환식을 진행했다.
지난 10일 만료된 원·위안 통화 스와프 계약도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다시 체결됐다. 외교부는 “양국 중앙은행 간 5년 만기 70조원(4000억위안) 규모의 통화 스왑 계약서를 체결했으며, 이는 양국 금융・외환시장의 안정과 교역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