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가설플러스에 관련 문의사항이나 요청사항을 남겨주시길 바립니다. 확인 후 빠른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문의선택
고객사(상호)
회사전화
- -
신청자(이름)
황준영
직위
이메일
sdjsadsd@naver.com
휴대전화
- -
제목
상간소송변호사 ‘뜨거운 데이터센터’ 식힐 비책, 우주에 있다고?
내용
상간소송변호사 데이터센터를 우주에 인공위성처럼 띄워 전력 소비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과학계에서 제시됐다. 작동 시에 고열이 발생하는 데이터센터를 영하 270도의 우주 극저온에 노출해 다량의 전기를 먹는 냉각용 전자·기계 장치가 필요 없도록 만드는 것이다.
30일 해외 과학계에 따르면 싱가포르 난양공대 연구진은 차가운 진공 상태를 이용해 우주에서 데이터센터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이 제시한 아이디어의 핵심은 데이터센터를 땅 위가 아니라 우주에 설치하는 것이다. 대형 인공위성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로켓에 실어 쏘는 아이디어다. 연구진은 대략 고도 200~2000㎞를 뜻하는 지구 저궤도(LEO)에 데이터센터를 배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센터를 우주에 띄우면 무엇보다 전기를 아낄 수 있다. 냉각장치를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는 서버와 각종 네트워크 장비가 집약돼 있기 때문에 막대한 열이 생기고, 이를 방치하면 성능 저하나 오작동 가능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현재 데이터센터에서는 전기로 냉각장치를 돌려 차가운 공기나 액체를 장비 사이로 순환시킨다. 그런데 우주 온도는 평균 영하 270도에 이른다. 이런 극저온 환경에 데이터센터를 띄우면 전기 소모 없이도 열을 금세 식힐 수 있다.
연구진이 냉각장치를 떼어내기 위해 ‘우주 진출’까지 주장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일반적인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전체 전력 가운데 30~50%가 냉각장치를 돌리는 데 쓰이기 때문이다. 우주로 가면 이런 전력을 안 써도 된다. 연구진은 ‘디지털 트윈(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사물을 가상공간에 동일하게 구현한 모델)’ 기술을 통해 우주에서 데이터센터 냉각이 매우 잘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우주에 데이터센터를 지으면 장점이 또 있다. 밤이나 악천후가 없는 우주에서는 태양광을 이용해 친환경 전력을 항상 생산할 수 있다. 데이터센터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탄소 배출 없이 사실상 무한정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지상에 짓는 데이터센터에는 넓은 부지가 필요한데, 우주에 띄우는 데이터센터에는 그런 고정된 공간이 없어도 된다. 그저 지구 궤도에 떠 있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에서 처리한 정보는 무선 통신을 통해 지구로 보낸다. 연구진은 “데이터센터 기능을 하는 위성을 지구 궤도에 여러 기 띄워 대규모 컴퓨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본회의에 불참하고 조기 귀국한 데 대해 미국의 평판을 훼손하고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할 기회를 열여줬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AP 통신은 3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행보가 APEC 본회의에 참석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비되면서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할 기회를 열어줬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부산 김해공항에서 시 주석과 1시간40분간 미·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APEC 정상회의 본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곧바로 귀국행에 올라 1박 2일간의 방한 일정을 마무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 우선주의를 내세워 양자회담에서 상대방을 강하게 압박하는 반면, 다자주의를 경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달 22∼23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불참할 계획이라고 일찌감치 선언했다. 또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와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에서 탈퇴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APEC 불참은 참석 자체를 중요시하는 아시아 문화의 특수성을 간과한 외교적 결례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APEC은 전 세계 인구의 약 40%, 글로벌 상품 교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지역 협의체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조해온 아시아·태평양 전략과도 모순된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마이클 그린 호주 시드니대 미국학연구소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체계적이고 일관된 전략에 의해 자신의 행동이 제한되는 것을 원치 않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고명현 한국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는 이상과 가치, 국제 협력을 강조하는 미국의 전통적인 이미지와는 다르다”며 “미국의 평판이 분명 나빠질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부재는 시 주석에게 관심을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AP는 짚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시 주석이 APEC 정상회의에서 ‘중국의 지혜’와 ‘중국의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며 중국이 자유무역 수호자이자 신뢰할 수 있는 대안 파트너라는 점을 부각할 계획임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