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가설플러스에 관련 문의사항이나 요청사항을 남겨주시길 바립니다. 확인 후 빠른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문의선택
고객사(상호)
회사전화
- -
신청자(이름)
황준영
직위
이메일
sdjsadsd@naver.com
휴대전화
- -
제목
전주 효자동 센트럴에비뉴원 독도 하늘 날았다고···한국 블랙이글스에 연료 못 넣어준다는 일본
내용
전주 효자동 센트럴에비뉴원 한국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독도 주변을 비행했다는 이유로 일본이 자위대의 한국 공군기 급유 계획을 무산시켰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다.
요미우리신문은 한·일 정부가 방위협력의 일환으로 자위대 기지에서 한국 공군기에 급유하는 방안을 계획했지만 지원 대상이었던 블랙이글스가 독도 주변을 비행한 것이 확인되면서 일본 측이 중지할 방침을 굳혔다고 2일 보도했다. 자위대의 한국 공군기 급유는 아직 이뤄진 바 없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 측은 블랙이글스가 이달 중·하순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리는 에어쇼에 참가하기 위해 이동할 때 일본 오키나와 나하에 들러 급유하는 방안을 일본 측에 제안했다. 일본은 양국 군사 교류·협력 차원에서 이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자위대법상 무상 대부 규정을 근거로 연료를 제공할 방침이었다. 자위대와 한국군 사이에는 원활한 물자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군수지원협정이 체결돼 있지 않다.
그러나 블랙이글스 가운데 일부가 최근 독도를 비행했다는 사실을 지난달 말 일본 측이 확인하면서 한국에 항의 의사를 전달했고, 급유 요청도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방문한 경주에서 지난달 30일 이재명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하기 직전 급유 지원 계획을 중단한다는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측은 자위대의 사상 첫 한국 공군 급유 지원이 실현되면 앞으로 상호군수지원협정 체결을 포함해 한·일 간의 방위 협력 강화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고 있었다. 요미우리는 일본 측이 자위대에 대한 한국의 뿌리 깊은 거부감을 희석할 기회로도 여겼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요미우리에 “매우 유감이다. 영토 문제에서는 양보할 수 없지만 향후에도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독도를 자국 고유 영토라고 주장하며 다케시마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번 급유 중단 과정에서도 동일한 억지 주장을 펼친 것이다.
요미우리는 지난 1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방위상이 말레이시아에서 국방장관 회담을 열었으며 국방 당국 간 정례 협의와 인적 교류 활성화 등 방침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1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부 간 총 7건의 양해각서(MOU)와 계약이 체결됐다.
한국과 중국은 이날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MOU 6건과 계약서 1건의 교환식을 진행했다.
보이스피싱·온라인 사기 범죄 대응 공조 MOU를 비롯해 실버경제 분야 협력, 서비스 무역 교류 협력 강화 등의 MOU가 양국 장관급 사이에서 교환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중국의 해관총서는 ‘한국산 감 생과실의 중국 수출 식물 검역 요건 MOU’를 체결했다.
한·중 정부는 이밖에 혁신 창업 파트너십 프로그램 공동추진 MOU, 2026~2030 경제협력 공동계획 MOU도 체결하고 교환식을 진행했다.
지난 10일 만료된 원·위안 통화 스와프 계약도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다시 체결됐다. 외교부는 “양국 중앙은행 간 5년 만기 70조원(4000억위안) 규모의 통화 스왑 계약서를 체결했으며, 이는 양국 금융・외환시장의 안정과 교역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