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가설플러스에 관련 문의사항이나 요청사항을 남겨주시길 바립니다. 확인 후 빠른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문의선택
고객사(상호)
회사전화
- -
신청자(이름)
황준영
직위
이메일
sdjsadsd@naver.com
휴대전화
- -
제목
센트립구입 한·일 정상 “미래지향적 협력 강화”
내용
센트립구입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신임 총리와 만나 “한국과 일본이 그 어느 때보다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될 때”라고 밝혔다. 다카이치 총리도 “지금의 전략 환경 아래 일·한·미 간 공조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다카이치 총리 취임 9일 만에 열린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은 복원된 한·일 셔틀외교의 기반 위에 미래지향적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한국과 일본이 그 어느 때보다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될 때”라며 “국내적으로 정말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양국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해 나가면 국내 문제뿐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들도 얼마든지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일본과 한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이웃 나라이며, 지금의 전략 환경 아래 일·한·미 간 공조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면서 “그간 구축해온 일·한관계의 기반을 바탕으로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양국을 위해 유익하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이 대통령이 전임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넉 달 사이 세 차례 정상회담을 하며 복원한 한·일 간 셔틀외교를 유지·발전시켜 나가자는 데에도 뜻을 같이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셔틀외교도 잘 활용하면서 저와 대통령 사이에 잘 소통해 나갈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장관급 등 여러 급에서 한·일 셔틀외교를 활성화시켜 나가자고 했다.
강경 보수 성향으로 알려진 다카이치 총리가 취임하기 전에는 향후 한·일관계 경색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온 바 있다. 하지만 다카이치 총리는 취임 이후 한·일, 한·미·일 협력과 공조를 중시하는 태도를 대외적으로 공표하고 있다. 그는 지난 2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일·한·미 등 우방국과 연계를 한층 더 추진할 것도 확인했다”고 밝힌 데 이어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이 대통령과 미래지향적 협력 관계에 뜻을 모았다.
대일 관계에서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지향적으로 협력해 나가자’는 이재명 정부의 투 트랙 실용외교 기조도 시험대 단계를 벗어나 안정적인 상태에서 유지·발전될 수 있는 기초를 닦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 2기 집권 이후 급변하는 무역·통상 국제질서와 선명한 미·중 갈등 구도는 한국과 일본의 공동 대응과 협력을 필요로 하는 요소다. 다만 과거사나 영토 문제 등이 현안으로 대두될 경우 우호 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위험성은 있다.
다카이치 총리가 셔틀외교에 대한 의지를 밝힌 만큼 이 대통령을 일본에 초청하는 계기가 머지않은 시기에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내 일본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있는 한·중·일 정상회의는 이 대통령의 방일 계기 중 하나로 거론된다.
오는 31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막을 앞두고 글로벌 청년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21개 경제체를 대표하는 청년들은 결혼·출산 등 청년세대라면 공감할 만한 주제로 머리를 맞댄다.
한국 대표로는 카이스트 인공지능(AI) 연구원인 허성범씨가 출연한다. 허씨는 수능 수학 문제풀이 영상으로 300만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과학계 아이돌’ 별명을 얻었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도 특별출연한다. 하 수석은 청년들의 메시지를 APEC 정상회의에 전하는 가교 역할을 맡는다.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인 조영태 교수도 출연해 AI와 인구 변화의 상관관계를 짚는다.
각국 대표들이 전하는 삶의 풍경은 저마다 다르다. 출생률 저하로 걱정인 나라가 있는가 하면,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인구 과밀로 경찰서에서 피임도구를 나눠준다고 한다. 뉴질랜드 청년은 태권도 시범과 옴브리뉴 댄스 등을 선보인다. 세대와 언어, 문화의 장벽을 넘는 는 특별기획 프로그램으로, KBS1에서 29일 오후 10시 방송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신라 천마총 금관’ 모형을 선물로 받은 것을 두고 미국에서 심야 토크쇼를 중심으로 풍자와 비판이 잇따랐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케이블채널 코미디센트럴 토크쇼 ‘더 데일리 쇼’ 진행자 데시 리딕은 금관 선물을 겨냥해 “트럼프를 위한 ‘예스 킹스’ 집회”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인 국정운영을 둘러싸고 미국 내에서 벌어진 이른바 ‘노 킹스’(No kings·왕은 없다) 시위 명칭을 비틀어 비판한 것이다. 그는 방송에서 “우리는 지금 대통령이 ‘왕 놀이’에 빠지지 않게 하느라 애쓰고 있는데, 당신들은 ‘이 멋진 왕관 좀 써 보세요’라고 했다”며 “그냥 보통 나라들처럼 돈다발이나 건네라”고 했다.
우익 청년 활동가 고 찰리 커크 관련 발언으로 자리를 잃을 뻔했던 ABC 방송의 ‘지미 키멀 라이브’ 진행자 지미 키멀은 “(한국 정부는) 수백만 명이 ‘노 킹스’ 시위를 하는 걸 보고 (왕관 선물을) 생각해 낸 게 아닐까”라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아시아 순방 기간 모든 국가가 트럼프에게 극진한 대접을 한 것을 꼬집어 “그가 얼마나 조종하기 쉬운 사람인지 정말 부끄럽다”며 “어쩌면 한국에 남아서 왕이 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농담했다.
CBS 방송의 ‘레이트 쇼’ 진행자 스티븐 콜버트는 “그들(한국)은 트럼프에게 지금 유일하게 없는 것, 커다란 금관을 줬다”며 “문자 그대로 그(트럼프 대통령)를 버거킹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햄버거를 먹은 트럼프 대통령을 미국 내 트럼프 반대 시위에서 사용된 구호 ‘버거킹 말고는 왕은 없다’에 빗대 조롱한 것이다.
인터넷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관을 쓰고 황홀경에 빠진 듯한 모습 등을 연출한 풍자 ‘밈’도 인기를 끌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관 모형 선물을 받고 “아주 특별하다”, “특별히 잘 챙겨라. 내 박물관 맨 앞줄에 소장하도록 하라” 등 흡족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NBC 방송 ‘레이트 나잇 위드 세스 마이어스’의 진행자 세스 마이어스는 “카메라가 없어지자마자 트럼프가 ‘그거 써도 되냐’고 물어봤다더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