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가설플러스에 관련 문의사항이나 요청사항을 남겨주시길 바립니다. 확인 후 빠른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문의선택
고객사(상호)
회사전화
- -
신청자(이름)
황준영
직위
이메일
sdjsadsd@naver.com
휴대전화
- -
제목
인터넷가입현금지원 SK텔레콤 유영상 대표 교체될 듯···해킹 사고·실적 부진 영향
내용
인터넷가입현금지원 SK텔레콤의 최고경영자(CEO)가 교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4월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묻는 한편 분위기 쇄신에 나서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은 이르면 오는 30일 수펙스추구협의회를 열고 SK텔레콤을 비롯한 그룹사 사장단 인사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사에서 유영상 SK텔레콤 CEO가 물러날 것으로 전해진다. 유 대표는 2021년 11월 대표로 취임해 통신과 인공지능(AI)의 융합을 통한 미래 먹거리 발굴에 주력해왔다. 그러나 지난 상반기 발생한 해킹 사고와 이어진 실적 부진으로 책임론이 안팎에서 제기됐다. 해킹 사건 이후 4개월간 80만명 가까운 가입자가 SK텔레콤을 이탈했으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300억원 넘는 과징금을 부과했다.
차기 CEO로 거론되는 인물은 정재헌 SK텔레콤 대외협력 담당 사장이다. 1968년생인 정 사장은 판사 출신으로, 서울중앙지법·대전지법·수원지법 등을 거쳤다. 2020년 4월 SK텔레콤에 입사해 법무그룹장을 맡았고 대외협력담당 사장, SK그룹 SK수펙스추구협의회 거버넌스위원장 등을 맡았다. 정 사장이 대표로 선임될 경우 SK텔레콤 사상 첫 법조인 출신 대표가 된다.
SK텔레콤은 30일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번 실적에는 상반기 해킹 사고에 따른 대규모 보상과 과징금 부과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증권가에서는 SK텔레콤 영업이익이 95% 이상 급감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SK텔레콤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 사장도 이번에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차기 사장으로는 김성수 유선·미디어사업부장이 거론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에서 6년4개월 만에 정상회담을 갖고 미국은 중국에 대한 ‘펜타닐 관세’를 20%에서 10%로 낮추고,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1년간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핵심 쟁점에서 양측이 한 발씩 물러서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지속된 미·중 무역전쟁은 일시 휴전에 들어간 것이다. ‘스몰딜’로 급한 불을 끄는 수준이어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았다.
미·중 정상은 김해공항 나래마루에서 한 1시간40분 회담에서 주고받기식으로 현안 해결에 주력했다. 미국은 합성마약 펜타닐 문제에 대한 미흡한 대응을 구실로 중국에 매긴 관세를 20%에서 10%로 내렸고, 중국은 오는 12월부터 대폭 확대키로 예고한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1년간 유예하고 미국산 대두 구매를 재개하기로 했다. 양국은 서로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조치도 유예키로 했다. 두 정상은 또 경제·무역·에너지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대체로 지난 26일 양측 협상팀이 사전 합의한 내용을 두 정상이 공식 확인한 모양새였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대만 문제를 다루지 않은 대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협력키로 했다. 한반도 문제도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4월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은 그 후 답방키로 해 후속 정상회담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결과에 대해 “10점 만점에 12점”이라고 만족감을 나타내며 “우리는 거의 모든 것에서 합의했다. 남은 것이 많지 않다”고 했다. 시 주석도 “양국이 깊이 있는 의견 교환을 통해 경제무역 문제 해결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했다. 하지만 갈등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봉합한 성격이 짙다.
지경학적으로, 한국은 미·중 전략 경쟁 사이에 끼어 있는 입지다. 전날 한·미 정상회담은 관세협상을 극적으로 타결했고, 양국이 경제·안보·미래 협력 방향에서 동맹을 강화하기로 했다. 그러나 앞으로도 미·중 갈등은 한국 경제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재명 대통령은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을 더는 취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지만, 중국은 경제·안보 측면 모두 협력해야 할 나라이다. 11년 만에 시 주석이 방한해 다음달 1일 열리는 한·중 정상회담이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확대·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